국민대학교

국민인! 국민인!!
2020 휴먼시티디자인워크숍 3개 부문 수상 - 조형대학,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한국디자인학회와 서울디자인재단이 공동 주관한 휴먼시티디자인워크숍에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와 공업디자인학과의 융합팀인 <옆집공원>팀이 '사회문제해결상'을,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의 팀이 '디자인창의상'을,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팀이 '디자인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디자인을 통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환경과 인간이 공존하는 도시문화를 제안하고자 추진된 이번 행사는 휴먼시티디자인어워드(http://humancitydesignaward.or.kr/)의 연계 프로그램으로서 지난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3개월에 걸쳐 전국 25개 대학의 31개팀에서 180여명의 학생과 지도교수가 참가한 행사였습니다. 국민대학교는 3개팀이 참가하여 모든 팀이 수상을 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한국디자인학회 가을국제학술대회에서 중간발표를 하였고, <휴먼시티 아이디어 토크 2.0>란 이름의 최종발표(https://www.youtube.com/watch?v=YVJA_xxsq1c&feature=share)를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하였고, 최종 결과물은 2021년 2월 24일부터 3월 8일까지 ddp 살림터 3층에서 전시하였습니다.

 

 

 


서울시장상에 해당하는 사회문제해결상 수상팀 2개팀 중 하나인 <옆집공원>팀은 공간디자인학과 김소윤, 신의탁, 이준희 학생, 공업디자인학과 김도희, 노상열, 손정임, 정예진 학생이 참여하고, 이민 교수와 연명흠 교수가 공동지도하였습니다. <옆집공원>은 작지만 유익한 공원을 조밀하게 분포시켜 서울 시민의 불균등한 녹지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적 야외장소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에서 출발했습니다. 서울에는 절대적인 녹지의 면적이 모자라지 않음에도 오히려 공원의 크기가 너무 커서 지역에 제도적으로 할당된 공원 면적을 충족시키고 나면, 공원과 가깝지 않은 지역은 집 근처에 있는 공원이 조성될 여지가 사라지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이에 주택 부지를 매입한 뒤 버려질 위기에 처한 가로수까지 활용하여 건물 안으로 끌어옴으로써 숨통을 터줄 수 있는 공원을 제안했습니다. 크고 먼 공원이 아닌 작지만 가까워 마치 옆집에 공원이 있는 것 같은 의미를 담은 삶 속의 공원, <옆집공원>입니다.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상에 해당하는 디자인창의상 5개팀 중의 하나인 팀은 자동차 운송디자인학과 김창수, 조유리, 이성호, 고유훈, 윤다연 학생이 참여하고 송인호 교수가 지도하였습니다. <나름>의 모티브는 매일 포화된 교통량과 불편한 대중교통, 접근성의 불균형을 겪는 서울 시민들의 이동 경험을 향상시키고자 한 제안입니다. 주정차된 차로 낭비되는 도심 속 공간, 서울의 80%를 차지하는 좁은 도로들과 심각한 인구 포화량 등을 서울의 교통 문제로 인지하였고 지상과 지하, 2차원에만 머물고 있는 우리들의 삶을 상공까지 확산시켜 시민 이동망을 여러겹의 레이어처럼 입체화 하였습니다. 이에 전기동력을 사용하는 친환경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인 UAM과 위치와 목적에 따라 설치 조합될 수 있는 모듈형 HUB를 사용하며 다차원 레이어 이동망 플랫폼을 제안했습니다. 은 도시재생, 도시교통다양화, 열린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도심속 새로운 공간의 틈을 열 수 있는 서비스가 될 것 입니다.

 

 

한국디자인학회장상에 해당하는 디자인학술상 5개팀 중의 하나인 팀은 공간디자인학과 박은경, 조하운 학생과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실내가구디자인랩 박사 이순정, 왕조탁 학생이 참여한 학박사 연계팀으로 석좌교수이신 이상해 교수와 정미선 교수, 강민선 교수가 공동지도하였습니다. 는 도시형 생활주택 지역의 서울시 쓰레기 선순환 시스템으로 세계적으로 앓고 있는 쓰레기 포화문제에서 시작해, 도시 내에 있는 쓰레기 처리 방식에 의문을 던지며,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해 쓰레기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룬 프로젝트입니다. 도시형 생활주택 지역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지역처럼 쓰레기 배출공간과 시스템이 잡혀있지 않아 쓰레기 무단투기로 인한 주민갈등문제와 골목환경미화문제를 앓고 있었습니다. 이에 집집마다 쓰레기 분리수거함을 제공하여 주민의식과 참여도를 높이고, 분리배출공간을 재정의하여 기존의 도시경관을 개선하고, 폐기물과 수거함을 새활용 할 수 있도록 쓰레기 선 순환 시스템을 제안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