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언론속의 국민
[디자인으로 읽는 한국인의 삶] (13) 도심 근교 카페 / 조현신(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교수

ㆍ호숫가 저 카페의 손님, 이름은 ‘향수’

인문지리학자 이푸투안에 의하면 우리 삶의 터전은 공간(space)과 장소(place)로 나뉜다. 아직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텅 비어 있는 어떤 지점이 공간이라면 여기에 인간의 삶이 들어가 이정표와 건물이 생기고 사건이 일어나면 이 공간은 장소로 변한다. 당연히 모든 장소들은 그들만의 특유한 정체성을 지니는데, 이는 그 장소에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의 기억과 정서에 자리 잡고 있다. 지난 70년간 한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은 도심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은 근대적 기능성의 측면에서 볼 때는 비효율적이며 비생산적인 것들이, 정서의 측면에서 볼 때는 촌스러운 것들, 옛것들이 무시되고 쓸려나가는 과정이었다. 급속함이라는 단어가 이미 자연과 물리의 법칙에 어긋나는 조짐을 품고 있듯이 숨 돌릴 틈도 없이 추방된 이것들은 한 번에 사라지지 못하고, 도심의 주변에 웅성웅성 모여서 그들만의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한국 도심 주변의 위락시설들은 옛것이면서도 비정통적이라고 낙인찍힌 것들, 모던하고 서구적인 것들의 대극점에 있는 것들의 임시 거주처이기도 하며, 수없이 썼다가 지운 양피지처럼 우리의 무의식에 찍힌 양가적인 얼룩이기도 하다.

■야산의 버섯 같은 건물들

경기 의왕시에 인공호수인 백운호수가 있다. 1953년에 만들어진 이 호수는 처음에는 농업용수용으로만 사용되었으나, 찾아오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지금은 서울 근린의 인기 있는 위락지로 꼽힌다. 위락지의 대표적인 장소는 역시 음식점이나 카페이다. 식기와 수저가 내는 달그락거리는 소리, 갓 만들어진 음식 냄새, 사람들의 말소리와 웃음이 떠돌고 적은 돈으로도 편하게 대접을 받는 이 ‘음식이 있는 따뜻한 장소’는 공공 공간 중에서 집과 가장 유사하다. 백운호수 주변에는 많은 음식점들이 있는데 그 중 물길이 보이는 위치에 카페가 하나 있다. 2000년에 지어진 이 건물은 3년 전만 해도 퓨전 음식점이었으나, 현재 커피숍으로 바뀌었고, 내년에는 새로운 현대적 양식으로 다시 지을 예정이라고 한다.

이 카페를 잠시 살펴보자. 진입로에는 소나무가 서 있다. 지붕은 오지그릇을 깨서 만든 기와를 얹고 있으며 그 형상은 초가지붕의 둥근 모양을 흉내 내고 있다. 창문틀은 다듬지 않아 나무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드러내며, 입구의 유리문에는 청사초롱을 든 꼬마 신랑과 신부가 새겨져 있다. 와인 랙이 입구 주변에 있는데 그 위에는 모조 청자항아리에 숯과 함께 담긴 소나무 분재가 놓여 있다. 벽은 흙으로 마감되어 거칠거칠한 질감이 느껴지며, 이층의 천장에는 한지로 만든 연꽃 모양의 램프가 달려 있다. 물길이 보이는 밖에는 여름이면 흰색 파라솔이 펼쳐지고, 주변 밭에는 깻잎이며 상추 등을 심어 객들이 거두어 갈 수 있게 한다. 영국의 골프장에 가서도 고사리를 한 바구니씩 따오고, 도심의 고층 아파트에 살지만 아직도 쑥이며 냉이를 캐러 가는 50대 중반 이후의 여인네들에게 이 장소는 ‘반짝이는 금모래빛’의 고향의 풍정일 것이다. 이곳의 간판은 서구의 방패 모양 상징으로 되어 있으며, 서빙을 하는 직원들은 나비넥타이에 검은색 정장을 입은 영국 집사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 건물의 사진은 마치 100년 전 조선의 서낭당 나무가 서 있던 초가집을 찍은 엽서의 한 장면인 듯하다.


여기서 조금만 더 올라가면 돌로 벽을 만든 이층집에 동그란 창문, 지붕에 기와를 올리고, 커다란 하회탈을 정면에 붙여 놓은 식당이 보인다. 내부에는 진달래와 개나리 등 온갖 한국 들풀의 조화들이 걸려 있고, 항아리와 돌절구·키·바구니·조리·농기구 등이 나무 기둥에 걸려 있다. 일부러 어설프게 만든 듯한 흙벽 난로에서는 장작이 타고 있다. 한 집 건너 다른 집에는 돌절구가 놓인 사이로 토종 과꽃이 피어 있고, 돌지 않는 물레방아 바퀴가 자리 잡고 있다. 근대 초기 요란하게 들어온 철도의 침목, 재봉틀, 녹슨 펌프, 괘종시계 등도 여기저기 모여 있다. 이런 형태의 식당이나 카페는 장흥, 물왕리, 남양주 등 서울을 둘러싼 동서남북 근교 어디에나 자리 잡고 있으며 서울뿐 아니라 여타 도심 주변에서도 공통적으로 볼 수 있다. 전문 비평영역에서 이들의 양식은 버나큘러의 한국적 양식이 서양적인 것과 결합된 키치적 건물이라고 평가받을 것이다. 아니, 이런 건축들은 비평의 대상도 되지 못하며 그냥 야산의 버섯처럼 피었다가 사라진다. 이들 카페의 이름들은 ‘터 사랑’ ‘옹기종기’ ‘준’ ‘초가’ ‘오막살이’ ‘그때 그 집’ 등으로 그야말로 도시성이나 세련됨과는 멀리 떨어져 있다.

■두 주인공의 서사; 학의동과 방울재

이런 카페나 식당 주인의 이야기를 잠깐 들어보자. 백운호수에 자리 잡은 한 카페의 주인은 1957년생이며 경기도 토박이다. 그의 조상은 조선시대인 1600년대에 조정으로부터 백운호수 주변 어마어마한 면적의 땅을 하사받았고, 집안은 집성촌을 형성하여 대대로 그 땅에서 살아왔다. 이것저것 하다가 2000년 식당을 하나 냈는데 당시 버섯집의 형상을 선택한 것은 현대적이며 세련되어 보이지는 않지만 그 모양이 자연환경과 제일 잘 어울리는 듯했고 농촌에서 살아온 자신의 정체를 잘 표현해 주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였다고 한다. 그의 표현에 의하면 도시는 미끌미끌하고 차갑다. 내부는 건축업자와 의논해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많이 반영했다고 한다.


당시 그가 살고 있던 집은 130년 된 한옥이어서, 겨울이면 춥고 불편해 결국 새집을 짓기로 했다. 한옥의 종가집이니 보존하고 옆의 터에 새집을 지을까 했지만 별로 내키지 않았던 것은 어머니가 항상 말씀하신 대로 명당인 그 자리를 떠나기 싫어서였다. 결국 헌집 한옥의 안방 자리에 새집의 안방을 들여서 500년 지기(地氣)를 받기로 결정했다. 한국의 유명 건축가에게 새집 설계를 의뢰했고, 2003년 완공된 이 집에 당호도 짓고 건축상도 받았다. 막대한 건축비를 들여서라도 유명 건축가에게 맡겨 집을 짓고 싶었던 이유는 ‘가방끈이 짧은’ 그이지만 한국의 내로라하는 사람들 못지않은 집으로 자신을 과시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였다고 한다. 내년에는 버섯집 모양의 카페를 다시 “현대식 외양”으로 바꾸어 지을 생각이다. 그런데 4년 전 자신의 살림집을 포함한 주변의 땅 절반 이상이 국가에 수용되었다. 몇 백년을 지켜온 집터를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지만 허사였고, 자신의 집터에는 아파트가 들어선다고 한다.


이 카페 주인처럼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사람의 반대편에 위치한 인물이 문순태의 소설 <징소리>(1978) 연작에 나오는 주인공 허칠복이다. 그는 마을제를 올릴 때면 징을 맡아 치는데 그때마다 마음이 둥둥 나는 것 같고 자신이 자랑스럽게 느껴진다, 그는 고향 방울재에서 갓 결혼한 순덕이와 잘 산다. 하지만 댐이 건설되어 “물속에 퐁당 잠겨버린” 수몰지구가 되면서 보상금을 받고 동네 주민 모두 뿔뿔이 흩어진다. 허칠복은 결국 정착하지 못하고, 마누라는 “가난흐고 못난 촌놈 마다하고 잘난 도회짓놈”과 떠난다. 괄괄하고 기가 세던 칠복이는 기가 죽고 어리바리해진 채 어린 딸을 데리고 낚시꾼들이 포진한 장성호를 찾아와 목청껏 친구들의 이름인 덕칠이, 봉구, 팔만이를 부르며 징을 치곤 한다. 뿔뿔이 흩어진 방울재 사람들도 도심의 막노동꾼이 되거나 노동자로 뿌리를 내리는 신산함 속에서 환청처럼 징소리를 듣고는 한다. 일상사 연구가 미셀 세라토에 의하면 대중은 “텍스트 이전에 등장하는 사람들이며, 존재성 없이 웅웅거리는 수많은 군상들”이다. 도시화, 산업화, 발전이라는 명확한 의미를 지닌 텍스트 이전의 존재 허칠복의 초상은 도심 개발이 거의 끝나고 그 속도가 완만해진 1999년, 박상우의 소설 <내 마음의 옥탑방>에서 이제 도심의 옥탑방으로 밀려 올라간 젊은 세대로 다시 태어난다.

■해풍이 부는 부드러운 고향

해방 이후 이 땅을 살아온 우리들 모두의 집은 허칠복과 그 반대편에 위치한 카페 주인의 서사 사이 그 어느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들 집의 궤적은 이 땅에 켜를 이루며 쌓여간다. 마치 우리의 모든 삶들이 무의식의 얼룩을 만들 듯이. 두 주인공 모두 어떤 연유에서건 세계의 첫 번째 구석, 자신의 집에서 지속적인 삶을 살지 못한다. 이렇게 가장 내밀한 삶을 보증할 실체들이 없어지는 과정에서 우리 모두의 기억은 손상되고 정서는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지 않았을까? 존 듀이가 말했듯이 구체적 실체가 없는 우리의 경험과 정서는 불완전한 상태가 되어 버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 감성의 풍경은 원근법으로 흐르지 않는다. 때로는 소실점 밖의 것들, 보이지 않던 것들, 멀리 있는 것들이 갑자기 불려오면서 현재에 개입한다. 그렇기에 이 과거와 결합한 건물들이 모던의 획일성을 탈피한 포스트모던 건축의 키치적 차용이라고 단정 짓기에는 이들 발화가 지니는 의미의 층이 너무 두껍다. 어쩌면 그동안 우리들에게 집은 밥 먹고 잠만 자는 기능의 만족과 교환가치만 따지는 경제물이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래서 그곳은 삶의 흔적과 기억이 쌓이는 장소가 아니라, 투자와 교육을 위해 언제나 움직이면서 새로 시작해야 하는 낯선 공간이었을지도 모른다. 이런 한국적 삶속에서 도심 주변의 이 정통성 없는 건물들과 “지지구지한 살림들”(<징소리>)은 일종의 원형적 고향을 자처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결국 이곳은 고향을 떠났다가 다시 돌아와 불빛이 빛나는 저 도시를 말없이 바라보기만 하는 누이를 위해, 어머니 역시 말없이 밀수제비를 끓이고 등을 만져주는 그곳(김승옥,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1963), 해풍이 가끔 불어오는 그 부드러운 땅을 어설프게 흉내 내고 있는 상상 속의 고향인 것이다. 하지만 이제 이러한 땅도 대부분 럭셔리 전원 주택 부지나 아파트 단지로 확장되면서 고향의 품 대신 전원적 삶을 찾아 나서는 사람들을 위한 땅으로 변신하고 있다.


<시리즈 끝>

 

원문보기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2251927165&code=960100